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러브버그 방역 하고 있나요? 동양하루살이는 줄였으면서 러브버그는 왜 손도 못 대고 있나요? 익충이라는 말은
동양하루살이는 줄였으면서 러브버그는 왜 손도 못 대고 있나요? 익충이라는 말은 언제까지 할까요?꽃가루 옮기는 건 무슨 맨날 지들 짝짓기만 하느라 조금도 안하는 것 같은데요.. 아무리 좋은 일 한다고 해도 이렇게 많으면 안되는 거잖아요;; 외국에서 온 벌레고 천적이 없다매요. 근데 자칫 방역했다가 생태계 교란 이러는 걸까요? 원래 없었는데 없어질 걸 걱정하는 건가요? 도대체 왜 이렇게 많아진거죠? 22년부터 나온 것들 아닌가요? 왜 3년동안 꿈쩍도 못하는 거죠? 당장 땅에 화염방사기를 쏴서 유충들을 다 태워버리던지 소독차 다니면서 좀 없애던지.. 꿀벌 사라질때는 아무말도 안하던 것들이 왜 러브 버그 없앤다니까 발광하는 건지 진짜 언제 없어질까요? 왜 방역해달라고 민원이 그렇게 많이 들어가는데 아무 것도 안하는 건가요? 도대체 언제 일을 할까요?진짜…. 학교 갈때 학원 갈때 학교학원 심지어 집에서까지 러브버그 땜에 미치겠어요.. 사람을 보면 피하든가 무아지경으로 달려드니까 스트레스 받고 나갈 때마다 정신이 혼미해지네요ㅎㅎ
안녕하세요^^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Plecia longiforceps/nearctica)는 특정 시기에만 집중 출몰하는 곤충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1) 러브버그는 과연 ‘익충’일까요, ‘해충’일까요?
-전문가들은 익충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성충은 꽃꿀이나 수액을 먹으며 꽃가루를 옮기고, 유충은 낙엽을 분해해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역할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물거나 병을 옮기지 않으며, 독성도 없습니다.
-다만, 대량 출현 시에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시민 대다수(약 86%)는 “익충이라 해도 해충이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왜 이렇게 많이 생겼고, 왜 지금 사라지지 않죠?
-국내에서는 2022년 서울 은평구·고양시 등에서 처음 대발생이 관측되었고, 이후 서울 전역, 경기 및 인천까지 확산되었습니다.
-기후변화와 온난화, 도시 열섬 효과, 서북부 지역의 산림과 습한 환경 등이 개체 증식에 좋은 조건을 만들었고, 천적이 아직 적어 자연 감소 속도가 느립니다.
-미국 플로리다 지역도 1960~70년대 러브버그 대발생이 있었고, 수십 년에 걸쳐 자연스럽게 감소한 사례가 있습니다.
3) 방역은 왜 못 하나요? 효과는 있나요?
-살충제 사용은 지양됩니다.
-방역제를 뿌리면 러브버그의 천적까지 같이 죽어 생태계 균형이 무너질 위험이 있고, 다른 해충 더 기승 부릴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도 있습니다.
-실제로 은평구에서는 매미 등 다른 곤충을 잡으려다 오히려 러브버그가 증가했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현재 지자체들은 물살수, 끈끈이 트랩, 어두운 옷 착용, 방충망 보강 등으로 대응 중이며, 러브버그 전용 포집기 설치나 곰팡이 기반 친환경 농약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4) 언제 사라지나요? 기다려야만 하나요?
-러브버그는 일반적으로 군체는 약 2주 내 급격히 감소하며 7월 중순 전에 자연 소멸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환경부는 올해도 7월 중순 전에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정말 많이 지치고 스트레스 많으셨겠어요. 매일 학교, 학원, 집까지 벌레에 시달리면 정말 피곤하고 피하고 싶은 마음이죠. 하지만 지금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물로 분산하거나, 밝은 불빛 피하고, 어두운 옷 입기 그리고 투명 테이프·끈끈이 트랩 활용이 좋아요. 다행히도 이건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큽니다.
기후 변화가 지속되면 향후 비슷한 곤충들의 출현도 반복될 수 있는 만큼, 과도한 방역 대신 자연적 대응과 생태계 적응이라는 중장기 시각이 필요합니다.
✔️ 참고 블로그 링크
더 깊이 있는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해 보세요. image 러브버그 익충, 해충? 시기, 수명, 퇴치
러브버그가 갑자기 많아진 이유? 익충일까 해충일까?요즘 길거리나 베란다, 자동차 주변에서 러브버그를 유독 자주 보셨나요? 저도 최근 들어 이 작은 곤충들이 한두 마리도 아니고 떼로 몰려다니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예전에는 여름철에 가끔씩 보였던 기억이 있는데, 올해는 정말 유난히 많아진 느낌입니다. 도대체 왜 이렇게 한꺼번에 나타나는 걸까요? 러브버그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러브버그란?러브버그(Lovebug)는 ‘짝짓기 벌레’라는 별명을 가진 곤충입니다. 작은 크기에 검은 몸, 붉은 가슴 부...
bookcinea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