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코스피 3000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학생 인데새 대통령이 취임 하고 나서 코스피 지수가 3000이 돌파
학생 인데새 대통령이 취임 하고 나서 코스피 지수가 3000이 돌파 했는데그 이유가 무엇 인가요..?이전 정부에서는 안됏엇던게 새정부가 들어서서 됏다는건뭔가 이유가 있는거 같은데 자세히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해요.
코스피(KOSPI) 지수가 3,000을 돌파한 건 단순히 숫자 이상으로, 여러 경제적·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해서 꼭 "정권이 바뀌었기 때문"만은 아니고, 그 정부를 둘러싼 시장 기대감과 국내외 환경 변화가 맞물렸다고 이해하면 좋아요.
1.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정책 기대감
대통령이 바뀌는 시기는 보통 시장 입장에서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여져요. 특히 새 정부가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내세우면, 투자자들은 “앞으로 기업 수익이 더 나아질 수 있겠다”고 기대하면서 주식을 사들이기 시작하죠. 예를 들어 자본시장 구조 개편, 법인세 인하, 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등 주주친화적인 공약들이 있었어요. 이 때문에 '정책 랠리'가 발생한 겁니다.
2.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
최근 코스피가 반등하는 데 있어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건 바로 외국인 투자자입니다. 외국인들은 보통 정치적 안정, 환율 안정, 주식의 저평가 여부 등을 따져서 투자를 하는데요, 한국 주식시장이 그동안 너무 낮게 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되어 있었다고 판단해 매수에 나선 겁니다.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등 한국의 주력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외국인들이 대규모로 주식을 사들였죠.
3. 환율과 금리의 영향
2022년~2023년에는 미국이 금리를 빠르게 올리면서 한국에서도 자금이 빠져나갔고, 원달러 환율도 1,400원 가까이 올랐던 적이 있어요. 그런데 최근 들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환율도 안정되면서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한국 시장이 더 매력적으로 보였던 거죠. 돈이 몰리면 주식시장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됩니다.
4. 글로벌 경제 흐름과 비교
현재 세계 각국이 고물가, 경기둔화, 지정학 리스크 등으로 힘든 상황인데, 상대적으로 한국의 수출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요. 반도체 가격도 바닥을 찍고 반등하면서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죠. 그래서 한국 증시가 글로벌 증시 대비해서도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요약하면, 새 정부에 대한 정책 기대감, 외국인 자금 유입, 환율과 금리의 안정, 한국 산업의 경쟁력 회복 기대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코스피가 3,000선을 돌파하게 된 것입니다. 꼭 정치 하나만으로 보기보다는, 정치가 시장 심리를 자극했고 그에 따라 여러 경제 요소들이 긍정적으로 반응했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혹시 정치와 경제가 이렇게 연결되는 구조가 흥미로우셨다면, 제가 운영하는 블로그 지오비전에 오시면 국제정치와 글로벌 경제 흐름을 쉽게 풀어쓴 글들이 많아요. 학생분도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설명해두었으니 한 번 구경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blog.naver.com/polaris2040/223936204316 image 이란-이스라엘 충돌 격화, 세계 석유시장과 한국 기업의 비즈니스 리스크
서론: 중동 분쟁이 가져온 경제적 지진 2024년 말부터 시작된 이란과 이스라엘의 무력 충돌이 최근들어...
blog.naver.com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또 질문해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