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현미경적 혈뇨 신검때 혈뇨가 보였다고 해서 그 다음주에 내과 가서 소변검사 했는데
현미경적 혈뇨 신검때 혈뇨가 보였다고 해서 그 다음주에 내과 가서 소변검사 했는데
신검때 혈뇨가 보였다고 해서 그 다음주에 내과 가서 소변검사 했는데 또 혈뇨가 보인다는거에요...대학병원가서 정밀검사 받아보라고 하는데 심각한건가요 정밀검사엔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암이진 않겠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cont
안녕하세요. 대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김철수 입니다.
혈뇨는 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증상으로 원인은 다양합니다. "HPF 당 10-15 혈뇨"라는 결과는 유의한 이상입니다. 추가적인 정밀검사로서 소변 세포검사, 소변 배양 검사, 초음파검사, CT, 방광내시경, 혈액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세포검사 및 배양검사는 소변 내에 있는 세포를 자세히 분석하여, 감염, 염증, 결석 등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로써 신장, 방광 등의 내부 장기를 검사하여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결석이나 종양 등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CT 컴퓨터 단층촬영으로써 신장이나 방광의 구조를 더 정밀하게 살펴볼 수 있고 결석, 종양, 기타 병변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방광 내시경은 방광 내부를 직접 관찰하여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혈액 검사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로, 신장 질환이나 염증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뇨의 원인은 다양한데, 그 중에는 비교적 간단한 원인도 있고, 신장 질환, 방광 질환, 요로 감염, 결석 등 심각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암"이 원인일 가능성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암의 경우 혈뇨 외에도 다른 증상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혈뇨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미 언급해 드린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이나 심각한 질환이 아니라면, 적절한 치료나 관리로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